성경 분석 공부

민수기 12장 8절 질문에 대한 답변

truth 2023. 9. 17. 09:58

민수기 12장 8절 질문에 대한 답변

 

질문     

He sees the Lord as he is.(도대체 is 다음에 무엇이 해석된 건지 모르겠습니다.)
이 문장의 해석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그는 하나님을 있는 그대로 본다..라고 해석한다고만 나와있네요ㅠㅠ
저는 처음에는 그는 하나님을 봅니다. 그가 있을 때..

(is를 있다..로 해석했습니다. 그렇다면.. 뒤에 있는 he는 the Lord가 됩니다.. 그

렇다면.. 앞의 he와 뒤의 he가 다르게 되니.. 이것도 헷갈립니다.ㅠㅠ)

 

답변

 

(민 12:8) 그와는 내가 대면하여 명백히 말하고 은밀한 말로 하지 아니하며

그는 또 여호와의 형상을 보거늘

너희가 어찌하여 내 종 모세 비방하기를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

 

New Living Translation

speak /to him /face to face, clearly, and not in riddles! 

He sees the LORD /as he is

So why were you not afraid to criticize my servant Moses?”

 

/as he is.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어가 어떤 표현을 써서 의미를 전달하는지를 알아보고 나서

이해한 내용을 한글에 자연스럽게 의역해야 하는데 영어식 이해를 생략하고 한글식 이해를 하려면

표현이 서로 다른 경우 이해가 막힐 수밖에 없습니다

 

접속사로 쓰인 as는의미가 많지만 문맥상 '똑같이/그대로/처럼' 등으로 이해하면 되겠고요

is동사는 한글로 '이다/있다/존재하다 ' 의미와 비슷한데 문맥상 '존재하다'가 적당하겠기에

직역하면 '존재하는 상태와 똑같이'로 되므로

모세가 주님을 뵙는데 '존재하는 상태와 똑같이/그대로 ' 뵙는 것이기에

자연스럽게 의역하면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뵙는다' 할 수 있고요

 

이미 앞 문장에서 환상이 아닌 실제로 face to face 대면/직면하여 말씀하신다고 하셨으니

실물--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숙어인 /as he is.는 우리말 표현과 다르지만 is를 존재/실존하다로 이해하면 됩니다

즉 "그분께서 실존하시는 그대로"

 

/as he is.를 영영사전에서 찾다가 비슷한 표현을 찾았는데 같은 맥락으로 정의합니다

as it is /idiom
1 : in the present condition : 현존하는 조건에서  the way it is 현존/실제 하는 방식/양상/정도
Leave everything exactly/just as it is. 모든 것을 현존하는/있는 그대로 똑같이 놔두어라/손대지 마라

 

2 : with the situation that exists now 현제 존재/실재하는 상황에서
We have enough to do as it is without your latest orders!

우리는 최근의 주문 없이도 현재 실존하는 그대로/현제 상태 그대로도 할 일이 충분히 많다

간단히 의역하면 '새 주문 없이도 현재 할 일이 태산 같다'

 

If things are good as they are, they are good in their current condition or state.

일들이 있는 그대로가 좋다면 현존하는 상태가 좋다는 것이다

 

Come the way you are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네가 있는 상태 그대로 오라

 

It is the way it is. 현존하는 양상이 그것이다 즉 현실은 현실이다, 인정해야 한다

It is what it is. 상황이 비추이고 바꿀 수 없으므로 받아들이고 지나가라/계속하라

A phrase used to describe a situation that is less than ideal that you can't change. 

It is what it is and all we can do is accept it and carry on.

 

의역하면 "현실은 현실이다" 또는 "다 그런 거야", '어쩔 수 없다', '별수 없다' 등등

 

NIV는 그분의 형상을 뵙는다 하여 실제 모습을 뵙는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he sees the form of the LORD. 

 

인칭 대명사의 경우는 대명사가 지시/지칭하는 대상을 문맥상으로만 판단이 가능하므로

글을 읽으실 때 글과 상응하는 상황과 연계하면 헛갈릴 수 없지만 글 자체만 보면 헛갈리지요

 

글의 내용은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대하여 말씀하는 것이기에

처음의 He 그는 모세가 분명하고 두 번째 he는 the Lord와 연계하여야 의미가 소통되는데

그러나 둘째도 모세와 연계하면 불통되어 혼란되므로 잘못 관련시킨 것을 알 수 있지요

 

NLT는 인칭 대명사를 혼잡하게 썼으나 이는 영어인이 아닌 한인에게만 그렇다 보이지만

NIV는  he sees the form of the Lord. 주님의 형상을 본다로 번역하여 대명사 혼란문제가 없습니다

 

 

좋은 질문으로 인해서 제가 배우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하나님과 직대면하여 말씀을 듣는 하나님의 친구 같은 모세를

간접적인 환상이나 꿈으로 하나님의 계시를 받는 일반 선지자들과 비교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고

모세의 고유권한?인 결혼문제로 제삼자가 시비하는 것도 지도자의 사생활 간섭이라 꼴불견에

인종차별이라는 악한 생각/견해로 모세를 정죄했다 보면 인간적으로도 용납하기 어려운 문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