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atians 갈라디아서 4장 (이삭과 이스마엘의 관계로 대비된 믿음과 율법 행위의 극명한 차이)
NLT 읽기 https://www.bible.com/bible/116/GAL.4.NLT ( YouVersion )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Galatians%204&version=NLT;KLB
NLT 듣기 https://www.bible.com/bible/116/GAL.4.NLT ( YouVersion )
무료 성경 앱 https://www.youversion.com/the-bible-app/ (한글/영어 및 다른 외국어 성경 저장/읽기/듣기)
개역개정 https://bible.ctm.kr/ibible/
1 Think of it /this way.
If a father dies and leaves [an inheritance /for his young children],
those children are not much better off /than slaves /until they grow up,
even though they actually own [everything () their father had].
1 Think of 생각하라 it 그것을 this way 이런 방식으로.
If 만약 a father 아버지가 dies 죽고 and leaves 남기면 an inheritance 유산을 for his young children 그의 어린 자녀들에게,
those children 그런 자녀들은 are not 아니다 much better off 더 나은 상태가 than slaves 노예 보다도
until 그때까지 they 그들이 grow up 성장할 때까지,
even though 비록 they 그들이 actually 실제적으로 own 소유하지만 everything 모든 것을
(that) 그건 their father 그들의 아버지가 had 가졌던/소유하던.
* 타동사구; think of; 잠깐 생각하다, * 비교 Think about 곰곰 생각하다
1. To receive (an idea) and take it into consideration: 2. To care enough to keep (someone) in mind:
* think /of it ; 해석상 자동사로 하여 그것에 관하여 생각하다로 할 수도 있으나
The Free Dictionary 영영사전이 phrasal verb 구동사라 설명하므로 구동사로 함
* 부사 역할인 명사구 this way
* 보어인 형용사구 much better off /than slaves /until they grow up, 형용사구+부/전구+부/절
* better off ; in a more satisfactory condition or situation, * /than slaves 전치사+명사=전치사구
* 목적인 명사구 everything (that) their father had. (선행사=관계사=종절 목적)
* 현대는 부모가 사망한 후에 상속받지만 신약의 탕자는 부친 사망전에 재산을 억지로 요구하여 받고 폭망했는데
피도 안 섞인 하인/고용인이 주인 재산을 횡령했다면 해고와 처벌도 받지만 탕자는 사랑하는 자식이라 용서받듯
자식과 하인의 신분차이가 극명하지만 상속자가 미숙할 때는 탕자처럼 빗나갈 수 있기에 엄격한 통제 아래 산다
2 They have to obey their guardians /until they reach whatever age their father set.
2 They 그들은 have to obey 순종해야 한다 their guardians 그들의 보호자를 until 그때까지 they 그들이 reach 도달할 때
whatever age 어떤 나이에 their father 그들의 아버지가 set 정해 놓은.
* have to는 조동사 역할로 이해함 = must
* 목적으로 쓰인 의문사절; [whatever age their father set] 의문사는 형용사 역할로 age 수식
* 어떤 자비로운 아비라도 철부지 자식에게 재산을 상속하지 않는 건 세상물정을 모르기에 재산을 탕진하기 때문이라
혹시 하더라도 신탁설정을 하여 정해진 연령 전에 신탁된 재산을 임의처분 못하게 하여 파탄으로부터 보호받게 한다
3 And that’s the way () it was with us /before Christ came.
We were like children; we were slaves to the basic spiritual principles of this world.
3 And that’s 그것이 the way 그런 방식이다 (that) it 그건 was with us 우리에게 있는/우리가 처한 상태/현실
before 전에 Christ 그리스도께서 came 오시기 전.
We 우린 were like children 자녀들 같다;
we 우린 were slaves 노예 상태다 to the basic 초보적인 spiritual 정신적 principles 규칙에게 of this world 이 세상의.
* 처음 that 은 주어인 지시대명사, 둘째 that 은 종속절 접속사
* 선행사 the way는 종절에서는 부사 역할임 it was with us the way...
* 일반적인 상황/일을 대신하는 it ; used to refer to an explicit or implicit state of affairs or circumstances
* that's (just) the way it is ; this is just the normal way things happen. 그게 그런 거다,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일이다
There is nothing we can do to change or prevent the way things have unfolded or will unfold;
* 보어인 전치사구 with us before Christ came.
* CEV 번역 This is how it was with us. 이것이 우리에게 있었던 그 방식이다
* 요즘은 금쪽이에게 민주식으로 한다며 부모의 규칙을 권위적으로 시행하지 않으니 아이의 미련이 기고만장해져서
철부지 자식이 부모를 무시하고 무제한적으로 아동 주권권리 자유통치를 요구하는 망나니 괴물이 되어 가정을 깨나
아동자유와 권리만 강조하고 규칙 준수와 책임을 가르치지 못한 자유민주적 부모의 법치에 대한 무지몽매는 못 깬다
4 But when the right time came, God sent his Son, born of a woman, subject to the law.
4 But 그러나 when 그때 the right 바른 time 때가 came 왔을 때, God 하나님께서는 sent 보내셨다 his Son 그분의 아들을,
born 탄생하신 상태로 of a woman 여성에게서, subject 복종 대상으로 to the law 율법에.
* 삽입구/형용사구; (being) born of a woman, (being) subject to the law.
=> his Son, (who was) born of a woman, (who was) subject to the law.
* 범법자를 처벌하여 법치 아래의 삶의 축복을 주시려고 율법을 주신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도 율법 아래 나셔서
율법을 못 지킨 인간대신 일점일획도 빠짐없이 다 지키셔서 율법을 주신 분의 거룩하심과 순종요구를 다 이루셨기에
지켜서 살도록 된 율법을 깨서 인생을 생지옥으로 만든 인간들이 심판을 면하고 새 계명 아래 새 피조물이 될 수 있다
5 God sent him to buy freedom for us //who were slaves to the law,
so that he could adopt us as his very own children.
5 God 하나님께서 sent 보내셨다 him 그분께서 to buy 사라고 freedom 자유를 for us 우리를 위해
who 우리인즉 were slaves 노예들인 to the law 율법에게,
so that 그래서 he 그분께서 could adopt 입양하시도록 us 우리를 as his very own children 그분 자신께 속한 자녀로서.
* 5 형식 sent him to buy freedom~
* 목보인 부정사구 to buy freedom for us //who were slaves /to the law
* so that ; 의도 설명인 부사절 접속사
* 죽으면 먼지인 피조물에 불과한 땅-사람에 더하여 자신이 인생바다 중심에 앉아 자神견해를 진리로 믿는 신노름에
자神의 선악기준으로 창조주조차 판단심판하여 무신불신에 신의 존재 말살살인도 가하는 악의 화신으로 사는 자를
재 창조 아닌 새 영/마음으로 새 창조된 새 피조물로 중생시키셔서 하나님의 양자로 입적하시고 천국상속도 하신다
6 And because we are his children,
God has sent the Spirit of his Son into our hearts, prompting us to call out, “Abba, Father.”
6 And 그리고 because 때문에 we 우리가 are his children 그분의 자녀들인,
God 하나님께서 has sent 보내셨다 the Spirit 영을 of his Son 그분의 아들의 into our hearts 우리 마음에,
prompting 유발하시며 us 우리가 to call out 외쳐 부르도록, “Abba 아빠, Father 아버지.”
* 주어 수식 형역 분사구; 현분사의 주체/동작자는 주어이므로 주어 수식
God, (who are) prompting us to call out,
* Abba ; an Aramaic word for father, used by Jesus and Paul to address God in a relation of personal intimacy.
father (often as a familiar form of address in Muslim families). 중동의 아이들이 아버지를 우리말처럼 '아빠'로 부름
* 아이가 아빠를 아빠로 자연스럽고 친밀하게 부르는 것처럼 창조주이신 하나님도 그렇게 불러야 성경적이기도 하며
육신의 아버지와 나누는 것 같이 하나님과도 같은 친밀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면 나올 수 없는 말이 '아빠 아버지'인데
이 세상은 거꾸로 daddy 아빠에서 dad 아버지로 다시 father 아버님으로 점점 거리가 소원해지는 관계의 말로 바뀌나
하나님께서는 친밀한 관계를 원하시기에 말씀이 육신이 되신 성자 하나님을 통하여 '아빠'로 불리시기를 계시하신다
7 Now you are no longer a slave but God’s own child.
And since you are his child, God has made [you] [his heir].
7 Now 이제 you 너희들은 are 아니고 no longer 더 이상 a slave 종이 but God’s own child 하나님 자신의 자녀들이다.
And since 때문에 you 너희는 are his child 그분의 자녀이기에,
God 하나님께서 has made 만드셨다 you 너희를 his heir 그분의 상속자로.
* 숙어 no longer : in the past but not now: 더 이상 아니다
* 형용사 ; no longer a slave 더 이상 종이 아니다, * 부사; no longer have to live 더이상 살 필요 없다
* since = because, * 5 형식 made [you] [his heir].
* 천국 상속자가 성령님으로 중생한 새 피조물이 아니면 천국을 상속받을 수도 없는 건 죄인 상태로 가면 못 견딜 거고
거룩한 천국은 돼지에게 진주라 불편불안 불만불화 그 자체고 혹시 받아도 망칠 건 망쳐진 에덴이 증명하는 때문이다
8 Before you Gentiles knew God, you were slaves to so-called gods //that do not even exist.
8 Before 그전에 you Gentiles 너희 이방인들이 knew 알았기 전 God 하나님을,
you 너희는 were slaves 노예들이었다 to so-called 소위 말하는 gods 신들의 that 그건 do not even exist 존재하지도 않는.
* 제한 동격 you Gentiles = you who are Gentiles 이방인인 너희들
* 보어인 명사구 slaves /to so-called gods //that do not even exist.
* 분사 형용사 so-called ; 과분사의 수동 주체인 gods 수식
* 하나님을 알기 전에는 세상의 불의한 세력에게 종 노릇 했는데 하나님도 아닌 것들이 하나님을 사칭하여 피싱하는
사탄이나 가짜신 노름자가 언변언론 가짜 뉴스로 선전선동함으로 사람들을 쇠뇌하여 마귀 노예/좀비로 살게 하니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은 인간이 자작한 거짓을 진리로 믿고 스스로 하나님인체 생각/말/행동을 하게 하는데
진리의 하나님께는 오프라인 되고 거짓애비에게는 온라인 되어 사이버 세상에 널린 거짓정보로 각자의 삶을 망치나
말/글/정보 자체로는 진짜/가짜를 구별할 수 없고 본인 자神도 신노름자라 거짓을 진리로 믿으니 기만을 못 깨친다
9 So now that you know God (or should I say, now that God knows you),
why do you want to go back again
and become slaves /once more /to the weak and useless spiritual principles of this world?
9 So 그래서 now that 그 결과로 you 너희가 know 경험하여 아는데 God 하나님을
(or 또는 should I say 내가 말해야 할까, now that 이제는 God 하나님께서 knows 아시기에라고 you 너희를),
why 왜 do you 너희는 want 원하느냐 to go back 돌아가서 again 다시금
and become 되기를 slaves 노예가 once more 또 한 번 to the weak 부실하고 and useless 소용없는 spiritual 정신적인
principles 법칙 of this world 이 (육신) 세상의?
* now that ; As a consequence of the fact that; since.
* know 알다에도 많은 의미가 있지만 그중에서 To have experience of: 경험하여 알다로 하면 좋음
* 5 형식 want to go back again
* 부역 전치사구 to the weak and useless spiritual principles of this world
* 비교 New American Standard Bible ; elementary principles, (육신/자연계 세상의) 초보적 규칙/계율
* Amplified Bible ; elemental principles [of religions and philosophies], 종교나 철학의 초보적인 규칙
* 피조물인 내가 안다면 창조주이신 하나님께서도 아실 거라는 것이 상상이 아닌 당연한 사실현실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 모르실 것이라며 내숭떨면 웃기는 일이나 생명길을 버리고 사망길로 가면 황당무계 기절초풍할 일인데
연약하여 지키지도 못해 폐기된 저주의 율법을 일부라도 추가하면 은혜를 주신 하나님이 부실하다는 망령망발이요
예수님의 사랑법을 깨친 대딩이 연약하여 지킬 수도 없고 일부만 지켜도 안 되는 초딩 율법을 더하면 신성 모욕이다
10 You are trying [to earn favor with God /by observing certain days or months or seasons or years].
10 You 너희는 are trying 노력한다 to earn 얻기를 favor 인정을 with God 하나님께
by observing 엄수/성수함으로 certain days 특정한 날들과 or months 달과 or seasons 계절이나 or years 해/년도를.
* TRY : 1 : to make an effort to do something to attempt to accomplish or complete something
* 목적인 부정사구 to earn favor with God /by observing certain days or months or seasons or years
* 전목인 동명사구 observing [certain days or months or seasons or years]
* observe 1. to act according to the commands of 2. to mark with an appropriate practice, rite, or ceremony
3. to keep one's eyes on ·
* 주일이나 안식일 엄수/성수나 종교적인 절기를 구원의 필수교리로 설교하니 믿고 하나님의 인정/점수를 획득하여
천국/구원 표/입장권 얻으려 하시는 분들은 예수님 보다도 날짜/요일/주일 성수를 더 중히 여기는 신성모독을 하고도
능청/딴청 떨며 천국 앞자리는 따놓은 당상이라고 기염을 토하나 천국현실에는 눈 뜬 율법주의 맹인들이 분명한 것은
신령과 진정으로 경배드리는 것은 어떤 특정한 장소/날짜와 상관없다는 건 예수님의 입에서 직접 나온 말씀/진리이며
그날과 절기/장소가 주인/초점이 아니고 예수님께서 천지의 주인공이시기 때문인데 주일 예배나 성탄 축하는 하지만
주인/주인공이신 예수님을 조연 또는 종교 장식품 정도로 추락시킨 예배와 축하는 신성모독의 저주 거리가 확실하다
* https://biblehub.com/commentaries/galatians/4-10.htm
Jewish Christians might continue to keep them as hallowed customs of divine origin,
유대인 기독인은 안식일을 거룩한 날로 지킬 수 있지만 (율법 아닌 복음을 받은 이방인은 안식 후 첫날)
but not as grounds of justification. 그것이 의인되는 근거/조건 즉 율법적인 이유로 해서는 안 된다
not the simple observance is condemned, 단지 한 날을 거룩하게 지키는 것을 저주하는 것이 아니고
but the slavery which is involved in its being required for salvation, 구원의 조건으로 요구되는 것에 관련된 종속과
and the dishonour which is done to Christ by adding to His perfect righteousness.
예수님께서 이루어 주신 완전한 의로움에 날짜 성수를 더하여 예수님께 불경이 된 그 모욕모독이 저주가 된다
11 I fear for you.
Perhaps all my hard work with you was for nothing.
11 I 나는 fear 두렵다 for you 너희들로 인해.
Perhaps 아마도 all my hard work 내가 고생한 모든 일들이 with you 너희에게 한 was for nothing 헛것일 수도 있었다.
* 주어인 명사구 [all my hard work /with you] 한정사+형+형+명+형전구
* for nothing 1. free; at no cost 2. in vain; uselessly 3. without reason, * 형역전구 with you, for nothing.
* 바울이 무보수로 그 험난한 복음전도 사역으로 주어진 구원이 할례표시 주문추가로 인해 박살날 위기를 맞았는데
폐기된 율법 조문인 할례는 겉 사람의 겉모습에 인간의 노력과 성취를 상징하는 가시적 증거/증서가 자랑스럽지만
구약에서도 마음 할례를 암시하는 상징적인 할례를 날로 쇠락하는 겉 사람에게만 하면 내적 자아는 여전히 살아서
하나님과 단절된 채 자-神의 생각을 진리라고 믿고 유아독존적 신노름을 하며 진리의 하나님을 대적하며 설칠 거다
12 Dear brothers and sisters, I plead with you to live /as I do /in freedom from these things,
for I have become like you Gentiles—free from those laws.
You did not mistreat me /when I first preached to you.
12 Dear brothers and sisters 귀한 형제자매들이여,
I 나는 plead 청원한다 with you 너희들에게 to live 살기를
as I 내가 do 사는 것처럼 in freedom 자유 안에서 from these things 그런 것들로부터,
for 왜냐면 I 나는 have become 되었다 like you Gentiles 너희 이방인들처럼
—free 자유로운 상태로 from those laws 그런 율법으로부터.
You 너희는 did not mistreat 홀대하지 않았다 me 나를 when 그때 I 내가 first 최초로 preached 전파했을 때
to you 너희이게.
* 대동사 do = live, * 불자 보어로 쓰인 전치사구 /like you Gentiles
* 앰 댓쉬로 추가된 형용사구 —free from those laws
* 할례나 성일성수 등 수천년 지속되어 온 율법인데 율법 폐기를 논하는 건 율법을 주신 하나님을 폐기하는 패악이고
우상을 가짜신이라 하는 바울의 말은 이방의 종교적 관점에는 이방신 폐기론이니 동족과 이방족 모두가 증오하기에
율법과 우상신을 폐기하고 예수님만 믿으라는 바울의 복음은 유대와 이방사회에 엄청난 파괴적 파장을 일으켰지만
바울에게 복음을 전하신 예수님께서 진짜로 성자 하나님이시면 바울의 복음을 거부하는 누구나 하나님의 원수 되나
바울이 전한 복음 영접은 예수님과 하나님 영접이라 율법과 우상신 저주로부터 해방되고 하나님의 자녀까지 되는데
율법을 지켜 의인되기는커녕 불순종으로 죄인 된 유대인이나 우상사랑 이방인이나 다 죄인이니 복음만이 살 길이다
13 Surely you remember that I was sick /when I first brought you the Good News.
13 Surely 확실하게도 you 너희는 remember 기억한다 that절 내용을 즉 I 내가 was sick 병 걸렸었던 걸
when 그때 I 내가 first 처음으로 brought 가져왔을 때 you 너희에게 the Good News 복음을.
* 목적인 명사절 [that I was sick]
* 바울이 이방인에게 모세의 율법이 아닌 예수님의 복음을 전했으니 할례나 안식일/주일 성수를 가르칠 리 만무고
비록 병에 걸려 골골하는 바울의 말이지만 예수님 사랑의 복음을 전하니 복음의 능력이 갈라디아인을 변화시켰다
14 But even though my condition tempted you to reject me, you did not despise me or turn me away.
No, you took me in and cared for me /as though I were an angel from God or even Christ Jesus himself.
14 But even though 비록 my condition 나의 상태가 tempted 유혹했지만 you 너희가 to reject 거부하게 me 나를,
you 너희는 did not despise 멸시하거나 me 나를 or turn 거부하지 않았다 me away 나를.
No 아니다, you 너희는 took 받아들였고 me in 나를 and cared for 돌보았다 me 나를
as though 마치 I 내가 were an angel 천사인 것처럼 from God 하나님께로부터 온
or 또는 even Christ Jesus himself 예수 그리스도 자신인 것처럼.
* 타동사구; turn away : to refuse admittance or acceptance to
Take in : If you take someone in , you allow them to stay in your house or your country
* Care for - to do the things that are needed to help and protect
* 사람을 외모와 능력으로 취하는 것이 인간 기본이지만 예수님의 복음으로 안팎을 도배한 바울은 예수님의 화신이라
이방인조차 인간 바울이 안 보이고 사랑의 예수님이 보이기에 예수님의 능력이 표출되는 것은 복음의 초월적 결과다
15 Where is that joyful and grateful spirit () you felt then?
I am sure () you would have taken out your own eyes and given them to me /if it had been possible.
15 Where 어디에 is 있느냐 that joyful 그 기쁨과 and grateful 감사하는 spirit 영이 (that) 그건 you 너희가
felt 느꼈던/경험했던 then 그때?
I 나는 am sure 확신한다 (that) you 너희가 would have taken out 빼내어서 your own eyes 너희 자신의 눈을
and given 주었을 것이다 them 그것들을 to me 나에게 /if 만약에 it 그것이 had been possible 가능했었더라면.
* 지시 형용사인 that, * 타동사로 쓰인 feel; To undergo the experience of: 느끼다/경험하다
* that joyful and grateful spirit (that) you felt then => you felt ( that joyful and grateful spirit ) then
* 가정법 과거 ; 과거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 주절+would have + pp /if 절+과거 동사
* 가정법에 완료시제가 쓰이면 현실성이 완전 0/제로라는 암시 : 했었다면 했었을 것이다 즉 안 했으니 안 했다
과거시제와 would가 쓰이면 현실성이 거의 없다는 암시 ; 했으면 할 수도 있다
if it had been possible, you would have given them to me.
if it were possible, you would give them to me.
* 갈라디아 이방인이 눈이라도 빼줄 정도로 이민족 유대인 바울을 사랑한 것은 인류 전쟁사/잔혹사를 깬 기적이다
16 Have I now become your enemy /because I am telling you the truth?
16 Have I 내가 now 이제 become 되었느냐 your enemy 너희의 원수가
because 때문에 I 내가 am telling 말하는 you 너희에게 the truth 진리를?
* 주어=불자 보어; I = your enemy, * 4 형식 telling you the truth, (간목≠직목 ; you≠the truth)
* 참 사랑은 예수님의 기적이었기에 인간본성인 미움을 초월했지만 사랑과 미움은 종이 한창 차이라 예수님을 떠나면
예수님의 말씀/진리는 죄인에게 참 불편한 진실이 되기에 죄인 본능이 촉발촉진되니 사랑이 미움으로 될 수밖에 없다
17 Those false teachers are so eager to win your favor, but their intentions are not good.
They are trying to shut you off from me /so that you will pay attention only to them.
17 Those false teachers 그런 가짜 선생들은 are so eager 너무 열성적이나 to win 획득하려고 your favor 너희의 인정을,
but 그러나 their 그들의 intentions 의도들은 are not good 좋지 않다.
They 그들은 are trying 시도한다 to shut 단절시키기를 you off 너희를 from me 나로부터
so that 그래서 you 너희가 will pay attention 주목하도록 only 단지 to them 그들에게.
* 보어인 형용사구 so eager to win your favor 부+형+부역 부정사구
* 목적인 명역 부정사구 [to shut you off /from me]
* 타동사구 shut someone off: cut off, isolate, detach, separate, divorce 격리하다
* 부사절 접속사 so that ; in order that 이유설명
* 숙어 Pay attention : to watch, listen to, or think about someone or something carefully
* 에덴에서 마귀가 거짓말로 선악과를 신선과로 속여서 하나님의 피조물이 먹고 마귀애비 노예자식으로 전락하여
하나님을 떠나서 마귀처럼 신노름을 즐기게 되므로 하나님의 형상을 마귀형상으로 바꾸니 세상도 생지옥이 되어
끼리끼리 물고 뜯으며 자신이 만든 정치 종교 이상이론 사상철학 무신유물 이상한 이상향을 팔고사나 개꿈잡기다
18 If someone is eager to do good things for you, that’s all right;
but let them do it /all the time, not just when I’m with you.
18 If 만약 someone 어떤 이가 is eager 열정적이라면 to do good things 좋은 일 하기에 for you 너희를 위해,
that’s 그건 all right 좋다;
but 그러나 let 하게 하라 them 그들이 do 하게 it 그것을 all the time 항상,
not just 단지 when 그때 I’m 내가 with you 너희와 같이 있을 때만 아니고.
* 보어인 형용사구 eager to do good things for you 형+부역 부정사구
* 5 형식 let them do it (대명사 it = good things), * 목보인 원형 부정사구 (to) do it /all the time
* 부사역할인 명사구 all (of) the time ; informal : very often or frequently.
* 비교 at all the time: without stopping or changing at any time,
* all-time ; 1. full-time sense 1 2. being for or of all time up to and including the present; 현존하는 것 중에서, 역대상
An all-time high, low, best, etc. is the highest, lowest, best, etc
* 보어인 전치사구 with you 함께하는 상태에
* 부정사의 동작자/주체
them (to) do it ; 그걸 하는 건 them 목적인 그들, for me /to be with you ; 너희와 함께 하는 건 me
They want [to keep you /away~ ; 주어인 그들이 멀리 떨어지게 하는 부정사의 동작을 함
* 선한 의도로 좋은 일을 해 주는 건 좋지만 악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하면 좋은 일도 악한 일이 되기에
선행의 동기나 목적도 좋아야 결과도 좋은데 선한 동기라도 악한 결과로 될 수 있는 것이 불완전한 인간 선이니
타락한 인간을 선하다고 할 수 없고 타락된 선/양심에서 나온 인간 미를 완벽하신 예수님의 선과 비교할 수 없다
19 Oh, my dear children!
I feel /as if I’m going through labor pains for you again,
and they will continue /until Christ is fully developed in your lives.
19 Oh, my dear children 나의 귀한 자녀들이여!
I 나는 feel 느낀다 as if 마치 I’m 내가 going through 경험하는 것처럼 labor pains 만삭의 고통을 for you 너희를 위해
again 다시금,
and they 그들은 will continue 계속할 것이다 until 그때까지 Christ 그리스도께서 is fully 완전히 developed 형성될
in your lives 너희들 삶에서.
* they = labor pains
* go through
1. To examine carefully: went through the students' papers. 검토하다
2. To experience: We went through hell while working on this project. 경험하다
3. To perform: I went through the sonata in 30 minutes. 연주/공연하다
* 이방인의 중생에 해산의 고통이 동반했다는 사실은 바울이 전도사역에서 겪은 온갖 시련과 역경이 생생히 증거 했듯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고통으로 구원시키신 죄인 각자도 자신의 새 삶을 위한 자기부인이라는 피나는 싸움을 해야한다
20 I wish () I were with you right now /so I could change my tone.
But at this distance I don’t know [how else to help you].
20 I 나는 wish 소원한다 (that) 절 내용을 즉 I 내가 were 있다면 with you 너희와 함께 right now 바로 지금
so 그래서 I 내가 could change 바꿀 수 있게 my tone 내 말투를.
But 그러나 at this distance 이런 거리상에서 I 나는 don’t know 모른다 how else 어찌 달리 to help 도울 건지 you 너희를.
* wish는 비현실적인 소원에 쓰이므로 종절에 가정동사인 were가 쓰임 (hope는 실현 가능한 현실적인 소원에 쓰임)
* else; 부사 in some other way;otherwise: different; instead.
* 목적인 의문 대명사구 how else to help you 의문부사+부사+부정사구 = how else I am to help you
* Hope Vs. Wish.
Wish usually expresses a desire that is impossible or unlikely to happen. 불가능한 소원을 암시함
hope usually takes a simple present verb to express a future desire. 현제 동사로 미래의 희망을 표현함
and wish mostly follows the pattern of the second conditional (i.e., using would and other past patterns).
wish는 가정과 유사하므로 가정에 쓰이는 would + 과거/완료 시제 동사를 that 절에 씀
* 글자는 글 쓴 이의 깊은 마음이나 감정을 완벽하게 구현하지 못하므로 읽는 이가 오해할 소지가 다분한 때문에
똑같은 글이라도 어리석음의 현실을 깨우치려는 표현인 '어리석은 자' 호칭이 저주나 조롱으로 들릴 수 있으므로
제한된 지면과 말/글로 다 표현할 수 없는 뜻깊은 마음의 진실을 직대면하여 올바로 다 전하기를 원하는 것이니
말/글만의 율법도 무력했듯 글자만의 성경도 독자의 행간읽기로 오독되기에 성령님의 대면동행이 필수인 것이다
(선악과를 먹으면 죽으라라는 말/글 행간 어디서 먹어도 안 죽고 하나님처럼 된다는 말을 찾아 읽어낼 수 있지?)
21 Tell me, [you //who want to live under the law], do you know [what the law actually says]?
21 Tell 말하라 me 나에게, you 너희들 who want 원하는 to live 살기를 under the law 율법 아래서,
do you 너희는 know 아느냐 what 그것을 the law 율법이 actually 실질적으로 says 말하는 걸?
* 의문사절; what [the law] actually says (목), 접속사인 의문사는 목적도 대신함
* 동격 명사구/호격 you //who want to live under the law = 뒤에 나온 you
* 율법을 깬 사람이 율법조문의 행간 사이사이 어디서 불순종자의 처벌면제 조문을 읽어내어 칠전팔기할 것인가?
불순종으로 축복약속은 깨지나 처벌저주는 못 깨서 정의구현의 심판요구만 남아있는 율법을 추가해서 어쩔 건데?
22 The Scriptures say that Abraham had two sons, one from his slave wife and one from his freeborn wife.
22 The Scriptures 성경은 say 말한다 that 절 내용을 즉 Abraham 아브라함은 had 가졌다 two sons 두 아들을,
one 하나는 from his slave wife 여종이었었던 아내에게서 나왔고
and one 하나는 from his freeborn wife 자유자였던 아내에게서 나왔다.
* 형역인 동격 명사구 one from his slave wife and one from his freeborn wife = two sons 설명 추가 역할
* from은 동사가 아니지만 출처를 설명하므로 의역상 나왔다로 함
* 이스마엘과 이삭이라는 행간 사이에서 바울이 어떻게 율법과 은혜를 읽어낼 수 있었을까 하는 것이 의문일 수 있지만
바울은 글자행간 독심술은커녕 마음행간 독심술도 불가하다고 천명했으니 불가사의한 자승자박의 입막음이 분명하나
예수님께로부터 직접 복음과 성령세례를 받은 바울이라 성령님을 통해서 성경에서 하나님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거고
한 주님 한 성령님 한 믿음으로 읽는 성경이면 한 마음 한 뜻일게 자명하나 다른 말/복음이면 다른 불의 망령이 확실하다
23 The son of the slave wife was born in a human attempt /to bring about the fulfillment of God’s promise.
But the son of the freeborn wife was born as God’s own fulfillment of his promise.
23 The son of the slave wife 여종이었었던 아내의 아들은 was born 태어났다 in a human attempt 인간의 노력으로
to bring about 유발하려고 the fulfillment 성취를 of God’s promise 하나님의 약속을.
But 그러나 the son of the freeborn wife 자유자였던 아내의 아들은 was born 태어났다
as God’s own fulfillment 하나님 자신의 성취로서 of his promise 그분의 약속의.
* 형역 부정사구 /to bring about the fulfillment of God’s promise 앞 명사 attempt 수식
* to bring about ; to cause something to happen, * 전목인 명사구 God’s own fulfillment of his promise
* 하나님의 약속이 인간의 능력과 인내의 한계 내에 안 이루어져서 절망절박 막막한 심정에 처한 아브라함과 사라가
하나님의 더딘 약속의 일부를 고쳐 늙은 사라대신 인간상식에 맞는 젊은 여종으로 교체하고 인간의 노력을 추가하니
노년말년 막장막판 86세에 늦둥이를 낳고 13년을 즐긴 후 99세에 이삭의 약속과 개명과 할례라는 날벼락을 맞고서야
비로소 하나님의 약속은 인간의 노력과 때가 아닌 하나님의 권능과 때에 성취됨을 살을 잘라 피나는 아픔으로 배웠다
(이삭약속은 이스마엘로 합의된 인간의 생각을 깨는 날벼락인데 바울도 맞은 날벼락이라 아브라함의 심정도 알리라)
24 These two women serve /as an illustration of God’s two covenants.
The first woman, Hagar, represents [Mount Sinai //where people received the law //that enslaved them].
24 These two women 이런 두 여성은 serve 역할을 한다 as an illustration 삽화/실례로서
of God’s two covenants 하나님의 두 가지 약속의.
The first woman 첫째 여성, Hagar 하갈은, represents 대변한다 Mount Sinai 시내산을
where 거기서 people 사람들은 received 받았다 the law 율법을 that 그건 enslaved 노예화 한 them 그들을.
* serve; 특정한 역할을 하다 to be of use, To act in a particular capacity, to provide food or drinks, to work for;
* 목적인 명사구 [Mount Sinai //where people received the law //that enslaved them]
* 관계 부사절; //where people received the law 부사절 형태로 형용사 역할을 함
* 주격 관계 대명사절 //that enslaved them] ; 관계부사는 부사를 대신하고 관계대명사는 주어인 명사를 대신한다
관계부사 Mount Sinai //where people received the law (on the Mount Sinai=where).
관계대명사 the law //that enslaved them (선행사 the law=that=종절주어)
* 하갈은 인간적 방법과 노력으로 하나님의 약속을 받으려는 동기에서 선택된 애굽출신 여종으로 율법을 대변하는데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라고 좋은 율법을 부여받았지만 죄성본성으로 인해 율법을 깨서 축복 대신 저주를 자초하므로
인간적 노력으로는 죄의 종인 죄성 때문에 천국시민 초딩수준인 율법을 깰 수밖에 없는 연약한 처지임이 확인되었다
25 And now Jerusalem is just like Mount Sinai in Arabia,
because she and her children live in slavery to the law.
25 And now 이제 Jerusalem 예루살렘은 is just like 같다 Mount Sinai 시내산 in Arabia 아라비아에 있는,
because 왜냐면 she 그 여성과 and her children 그 여성의 자녀들이 live 살기에
in slavery 노예 상태에서 to the law 율법에게.
* JUST LIKE / JUST AS / JUST THE SAME (phrase): exactly the same, or the same way.
* 부역 전구 /in slavery /to the law 동사 수식, * 형역전구 /to the law. 앞 명사 수식
* 성지 예루살렘에 사는 아브라함의 후손들을 율법의 종이라고 하는 건 율법으로 의인되려는 유대인에겐 황당무계나
인간의 죄성 때문에 선하고 의로운 율법이 깨져 의인 꿈도 천국 꿈도 깨지나 율법 아래서는 달리 사면될 길이 없으니
무죄한 짐승 피로 속전하고 칠전팔기하나 또 깰 건 불사조 죄성 때문인데 모르고 율법에 목을 매니 몽학선생 노예다
26 But the other woman, Sarah, represents the heavenly Jerusalem.
She is the free woman, and she is our mother.
26 But 그러나 the other woman 다른 여성인, Sarah 사라는,
represents 대변한다 the heavenly Jerusalem 천국적인 예루살렘을.
She 사라는 is the free woman 자유로운 여성이고, and she 사라는 is our mother 우리를 낳으신 어머님이시다.
* the other woman, (who is) Sarah, * 형용사인 heavenly; of heaven; divine (명사+ly=형용사)
* 사라는 율법이 없는 천국을 대변하기에 자유자이므로 의무가 아닌 자유의지로 하나님을 사랑하고 순종하는데
하갈은 아브라함과 주종관계이므로 주인의 명령에 살고 죽어야 할 종의 의무하에 살기에 사랑의 관계는 아니다
27 As Isaiah said, “Rejoice, O childless woman, you //who have never given birth!
Break into a joyful shout, you //who have never been in labor!
For the desolate woman now has more children than the woman //who lives with her husband!” (사 54.1)
27 As Isaiah 이사야가 said 말한 것처럼, “Rejoice 기뻐하라, O childless woman 아이 없는 여성아,
you 너 who have never 결코 given birth 생산하지 못한!
Break into 터뜨려라 a joyful shout 기쁨의 환호를, you 너 who have never 결코 been in labor 진통을 못해본!
For 왜냐면 the desolate woman 쓸쓸한 여성이 now 이제 has 가졌다 more children 더 많은 자녀들을
than the woman 그 여성보다 who lives 사는 with her husband 그 여성의 남편과!”
* 동격 명사구 you //who have never given birth = childless woman
you who have never been in labor = 명령법으로 생략된 you
* break into something : 1. to begin suddenly to do something: 2. to force your way into something:
* than을 전치사로 하면 the woman //who lives /with her husband 은 전목
접속사로 하면 동사가 필요함 /than [the woman //who lives /with her husband] has.
* 인간의 능력과 노력으로 인생 막장까지 출산을 못한 처량한 사라가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으로 출산한 이삭은
육적인 자녀에서 영적인 자녀의 축복까지 받아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후손으로 오신 예수님의 조상도 되었다
28 And you, dear brothers and sisters, are children of the promise, just like Isaac.
28 And you 너희들은, dear brothers and sisters 귀한 형제자매여, are children 자녀들이다 of the promise 그 약속의,
just like Isaac 이삭과 똑같은.
* 보어인 명사구 children of the promise, * 삽입구 ; just like Isaac 앞 명사에 대한 추가설명
* 수식 관계 children of the promise 약속의 자녀, children just like Isaac 이삭과 같은 자녀
* 예수님을 영접한 갈라디아 교인은 율법 없이 곧바로 믿음으로 의인되는 은혜를 입었기에 약속의 자녀다
29 But you are now being persecuted by those //who want you to keep the law,
just as Ishmael, the child born by human effort, persecuted Isaac, the child born by the power of the Spirit.
29 But 그러나 you 너희는 are now 이제는 being persecuted 핍박당하는 중이다
by those 그들에 의해 who 그들 want 원하는 you 너희가 to keep the law 율법을 지키기를,
just as 똑같이 Ishmael 이스마엘이, the child 그 자녀인 born 태어난 by human effort 인간의 노력에 의해,
persecuted 핍박한 것처럼 Isaac 이삭을, the child 그 자녀인 born 태어난 by the power 능력으로 of the Spirit 성령님의.
* 수동 진행 be+being+pp; you are now being persecuted by those
능동 진행 those are now persecuting you
* 전목인 명사구 those //who want you to keep the law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동격 명사구; 설명 추가 역할 the child /born by human effort, = Ishmael,
the child /born by the power of the Spirit = Isaac
* 후치수식 형용사구 (being) born by the power of the Spirit = who was born by the power of the Spirit
* 인간의 생각/사상/관점/신념과 능력/노력에 의거한 인본주의 조상 가인의 후예는 신본주의 아벨 후손을 왕따 하며
인간의 이름을 높이려 바벨탑이나 황금우상도 세우고 참여 반대자는 숙청하고 불구멍에 던지는 만행을 저질렀는데
왕이나 독재자는 무론물론 평민천민 남녀노소 모두 절대자를 사칭하여 반대자를 치고받고 쌈질하니 전쟁은 끝없다
30 But what do the Scriptures say about that? “Get rid of the slave and her son,
for the son of the slave woman will not share the inheritance /with the free woman’s son.”
30 But 그러나 what 무엇이라고 do the Scriptures 성경은 say 말하느냐 about that 그것에 대해?
“Get rid of 쳐내라 the slave 종과 and her son 그 종의 아들을,
for 왜냐면 the son of the slave woman 여종의 아들은 will not share 나누지 않을 것이다 the inheritance 유산을
with the free woman’s son 자유자인 여성의 아들과.”
*get rid of To rid oneself of (something); discard or get free of: 쳐내다
* 의문사+목적 역할; what do the Scriptures say (what=목적) about that?
* 부역 전구 /with the free woman’s son
* 인간의 생각/관점/지식/노력의 최상품을 거룩히 여겨 거룩하신 하나님께 제물로 바쳤지만 불경한 제사로 거부된 건
상대적인 인간 선을 절대시 하는 자체로 인간을 신격화하여 하나님과 동등시하는 불경죄인 때문에 거부된 걸 모르고
거부에 불만격분하여 하나님께 인정된 자를 치니 곧 하나님을 침이라 신성모독이기에 하나님 면전에서 살 수가 없다
31 So, dear brothers and sisters, we are not children of the slave woman;
we are children of the free woman.
31 So 그러므로, dear brothers and sisters 귀한 형제자매여,
we 우린 are not children of the slave woman 여종의 아들이 아니다;
we 우린 are children of the free woman 자유자인 여성의 아들이다.
* so ; 1. For that reason; therefore:
* 여종의 주인은 율법이고 율법은 살게 하는 좋은 법이지만 육신이 연약하여 인간의 노력으로 항상 다 못 지키므로
율법이 죄성을 드러내니 저주받을 죄인으로 확인되고 범법자는 죄의 종이 되기에 죄에 죄를 더하다 사망에 이르나
이삭약속의 성취로 오신 예수님께서 율법의 순종요구는 물론 죄인들의 준엄한 심판요구까지 십자가에서 치르시니
예수님을 영접하는 죄인들을 자녀삼아 사망저주에서 해방하시고 새 계명으로 율법을 폐기하시고 자유하게 하셨다
*** The Voice 번역 참조 ***
1 Listen. I am going to explain [how this all works]:
3vt
When a minor inherits an estate /from his parents,
although he is the owner of everything, he is the same as a slave.
* be going to ~ 하려 하다 라는 숙어므로 be going to를 조동사로 하고 부정사를 본동사로 이해하면 쉽다
* 목적인 의문사절 [how this all works] 이 모든 것이 어떻게 되는 건지를
* 목적인 명사구 an estate /from his parents 부모에게서 받은 재산
* 보어인 명사구 the owner of everything, the same as a slave
2 Until the day /set by his father, the minor is subject /to the authorities or guardians //whom his father put /in charge.
* 형역 과분사구; /set by his father; 앞 명사 day 수식
the day (which is) /set by his father
* 형용사절; //whom his father put /in charge => his father put (whom=guardians) /in charge
3 It is like that with us;
there was a time //when we were like children /held under the elemental powers of this world.
* when 절은 형절/관계 부사절로 앞 명사 수식
* 형역 과분사구 /held under the elemental powers of this world 앞 명사 수식
children (who were)/held under the elemental powers of this world
4 When the right time arrived, God sent His Son/ into this world (born of a woman, subject to the law)
vi 3vt
5 to free those //who, just like Him, were subject to the law.
Ultimately He wanted us all [to be adopted as sons and daughters].
5
* 삽입구 just like Him,
* all 은 us 수식; 우리 모두
* 목보인 부정사구 [to be adopted as sons and daughters]
6 Because you are now part of God’s family,
He sent the Spirit of His Son /into our hearts; and the Spirit calls out, “Abba, Father.”
3 3
* call out; to shout something, especially when you are trying to get someone’s attention 부르다/부르짖다
7 You no longer have to live /as a slave /because you are a child of God.
vi
And since you are His child, God guarantees (that) an inheritance is waiting for you.
3vt
*** 역자 주 ***
“Abba” is an address (호칭) /spoken by children /to their fathers /expressing intimacy and respect.
It would not be out-of-the-question /to think of it as “Dad,” or “Daddy.”
우리말로 '아빠'라는 호칭이므로 친밀감과 존경이 깃들인 호칭이다
* 분사구 수식 관계;
children /expressing intimacy and respect
* it; 대명사, 가주어 [It=/to think of it as “Dad,” or “Daddy] would not be out-of-the-question.”
8 During the time /before you knew God, you were slaves /to powers //that are not gods at all.
하나님을 알기 전에는 하나님도 아닌 세력들에게 종이 었다/종노릇 하였다
하나님도 아닌 것들이 하나님처럼 불리고 그것들에게 사로잡혀 종노릇 하였다는 것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으심을 받은 인간이 타락한 결과
스스로 하나님 노릇하여 다른 사람 위에 신처럼 군림하던지
(현실적/역사적으로 이런 이들은 부지기수다)
영적으로는 이 세상의 세력, 신(神)인 사탄/마귀가 하나님 노릇하여 군림하던지 둘 중 하나로 봄
9 But now, when you are just beginning [to know the one True God]
3vt
—actually, He is showing [how completely He knows you]—
3vt 3
how can you turn back /to weak and worthless idols /made by men, icons of these spiritual powers?
vi
Haven’t you endured [enough bondage /to these breathless idols]?
3vt
* 목적인 부정사구 [to know the one True God]
* 의문사절/목적 [how completely He knows you]
* 형역 분사구 /made by men 앞 명사 idols 수식
* 동격 명사구 icons of these spiritual powers = idols
* Icon comes to us from the Greek word eikenai, meaning "to seem or to be like."
In certain religions, statues of religious figures are referred to as icons
––because they are prayed to as if they were the thing they represent.
* 목적인 명사구 [enough bondage /to these breathless idols]
10 You are observing [particular days, months, festival seasons, and years];
3vt
* 목적인 명사구 [particular days, months, festival seasons, and years]
11 you have me worried /that I may have wasted my time /laboring among you.
5vt 3vt
* 형용사 수식/부사 역할인 that 절 /that I may have wasted my time /laboring among you.
* 형역분사구 /laboring among you 분사의 주체는 본문 주어인 'I'
12 Brothers and sisters, I have become one of you. Now it’s your turn—become /as I am.
Lv Lv
You have never wronged me.
3
* 불자 보어로 쓰인 명사구 one of you, 부사절 /as I am
13 Do you remember [the first time (that/when) I preached the good news to you]? I was sick, and
3vt 3vt
* 목적인 명사구 [the first time (that/when) I preached the good news to you]
14 I know (that) my illness was a hardship to you, but you never drew back /from me or scorned me.
vi 3vt
You cared for me /as if I were a heavenly messenger of God,
possibly as well /as if I were the Anointed Jesus Himself!
Don’t you remember?
vi
* To draw back is to retreat or recoil, to physically move back from someone or something.
* 삽입된 부사구 possibly as well /as if I were the Anointed Jesus Himself 부+부+부+부사절
15 What has happened /to your joy and blessing?
vi
I tell you, the place was so thick with love /that if it were possible,
you would have plucked out your eyes and handed them /to me.
3vt 3vt
* 의문문 구조; 의문대명사+조동사+본동사+?
What has happened /to your joy and blessing?
의문대명사는 의문사 및 대명사 역할로 주어를 대신함
* 보어인 형용사구; so thick with love
* 결과설명의 부사절
/that if it were possible, you would have plucked out your eyes and handed them to me.
타동사구 plucked out; to pull or pick off or out.
* 가정법 과거 if+가정동사, 주절+would+have+pp 과거 사실의 반대
16 And now, do I stand /as your enemy /because I tried [to bless you with the truth]?
vi 3vt
* stand; To be in a specifiedstate or condition:
* 목적인 부정사구 [to bless you with the truth]
17 I’ll tell you [what these false brothers and sisters are counting on]: your attention.
4 3
They are ravenous for it. They are not acting /honorably or in your best interests.
vi
They want [to keep you /away /from the good news (that) we proclaim]
/so they can have you all to themselves.
* 직목인 의문사절 [what these false brothers and sisters are counting on]:
의문사 what = 목적 = your attention
* 타동사구 [count on] to depend on someone to do what you want or expect them to do for you.
* ravenous : 1. extremely hungry: 2. wanting something very much or wanting a lot of something
* 목적인 부정사구 [to keep you /away /from the good news (that) we proclaim]
타동사구 keep away; stay away (or make someone stay away).
전목인 명사구 the good news (that) we proclaim]
선행사 the good news=that=목적; we proclaim (the good news 목적)
18 Listen, there’s nothing wrong /with zeal /when you’re zealous /for God’s good purpose.
And what’s more, you don’t have to wait /for me to be with you /to seek the good.
* 보어인 형용사구 zealous /for God’s good purpose 형+부/전구
* 부사적으로 쓰인 의문사절 ; what’s more ; 문장 전체 수식
used for introducing an additional statement that supports what you have already said. 첨언한다면
* 부역 부정사구;/to seek the good 주어의 의도를 설명함
19 My dear children, I feel [the pains of birth] /upon me /again,
3vt
and I will continue /in labor for you /until the Anointed One is formed /completely /in you.
vi 3vt
* 자동사로 쓰인 continue; To go on with a particular action or in a particular condition; persist: 계속 진행하다
20 I wish (that) I were there. This letter is really harsh, yet I am really perplexed by you.
3vt
* 가정으로 쓰인 wish 이므로 that 절에 가정동사인 were 가 쓰임
* Hope Vs. Wish.
Wish usually expresses a desire that is impossible or unlikely to happen. 불가능한 소원을 암시함
To express a future desire, hope usually takes a simple present verb, 현제 동사로 미래의 희망을 표현함
and wish mostly follows the pattern of the second conditional (i.e., using would and other past patterns).
가정에 쓰이는 would 나 과거 동사를 that 절에 씀
21 Now it’s your turn /to instruct me. All of you //who want [to live /by the rules of the law],
are you really listening to and heeding [what the law teaches]? Listen /to this:
vi 3vt 3vt
* 숙어 someone's turn is the time when they can or must do something,
because they are with other people who are each doing the same activity one after the other.
뭔가를 해야 할 때를 설명하는 관용어이므로
it를 관용 주어로 이해할 수도 있고 또 가주어로 하고 부정사구를 진주어로 할 수도 있음
* 동격으로 쓰인 명사구; All of you //who want [to live /by the rules of the law] = 본문 주어인 you
호격으로 이해할 수도 있음; 원하는 너희들
* are you really listening to (what the law teaches) and~
* 전목 및 목적인 의문사절 [what the law teaches]
22 it’s recorded in the Scripture [that Abraham was the father of two sons].
3vt
One son was born to a slave woman, Hagar,
and the other son was born to a free woman, Abraham’s wife, Sarah.
* it = that 절
* 보어인 형용사구 born to a free woman 형+부/전구
* 동격 명사구 Abraham’s wife = free woman = Sarah
23 The slave woman’s son was born /through only natural means,
but the free woman’s son was born /through a promise from God.
* 보어인 형용사구 born /through a promise from God
24 I’m using an allegory. Here’s the picture: these two women stand for [two covenants].
3vt 3vt
The first represents [the covenant (that) God made on Mount Sinai]
3 3
—this is Hagar, who gives birth /to children of slavery.
3
*stand for 상징하다
1. To represent; symbolize.
2. To advocate or support: stands for freedom of the press.
3. To put up with; tolerate: We will not stand for impertinent behavior.
* the first = the first covenant
* 지시대명사 this = 앞서 언급한 내용
* 목적인 명사구 [the covenant (that) God made on Mount Sinai]
* 삽입절/비제한형절;who gives birth /to children of slavery
25 Hagar is Mount Sinai in Arabia, and she stands for [the Jerusalem (that) we know /now].
3 3
She has lived /in slavery /along with her children.
* 목적인 명사구 [the Jerusalem (that) we know /now]
선행사 the Jerusalem=that=목적 ; we know (the Jerusalem=that) /now]
26 But there is a Jerusalem (that) we know /above. She is free, and she is our mother.
* 존재 설명으로 쓰이는 there is 구문; ~이 있다/존재하다/exist
there는 부사 기능이 아니고 단지 형식상의 주어로 쓰인 허사
expletive ; (of a word or phrase) serving to fill out a sentence or line of verse.
27 Isaiah wrote,
Be glad, you who feel sterile and never gave birth!
Lv
Raise a joyful shout, childless woman, who never went /into labor!
3vt vi
For the barren woman produces many children,
3vt
more than the one //who has a husband.
3vt
* 호격 또는 동격 명사구; you who feel sterile and never gave birth
* 삽입절/형절; who never went /into labor 설명 추가 역할
28 So you see now, brothers and sisters, you are children of the promise like Isaac.
vi
* see; To understand; comprehend:
* 보어인 명사구 children of the promise like Isaac
수식 관계
children of the promise 약속의 자녀
children like Isaac 이삭과 같은 자녀
29 The slave’s son, born through only what flesh could conceive, resented and persecuted the one born into the freedom of the Spirit. 3vt 3vt 3vt
The slave’s son picked at Isaac, just as you are being picked at /now.
*pick at/on 성가시게 하다, 괴롭히다
1. To pluck or pull at, especially with the fingers.
2. To eat sparingly or without appetite: The child just picked at the food.
3. Informal To nag: to harass; Don't pick at me.
* 삽입구/형용사구
(being) born through only what flesh could conceive,
삽입구로 쓰인 형용사구 앞에 분사인 being 이 생략된 것으로 설명됨
* 주절
The slave’s son resented and persecuted [the one /born into the freedom of the Spirit].
* 목적인 명사구 [the one /born into the freedom of the Spirit] 명+형용사구
30 So what does the Scripture say? “Throw out the slave and her son,
3vt 3vt
for the slave’s son will never have [a share of the inheritance] [coming to the son of the free woman].”
5vt 목적 목보
* 타동사구 throw out; 내치다
3. To get rid of as useless: threw out the garbage.
* 목보인 분사구 [coming to the son of the free woman]
31 So, brothers and sisters, we are not children of the slave woman, but sons and daughters of the free.
* the + free 형용사; 복수의미 the free people/people who are free 자유자들
'NLT 갈라디아 문장분석 문법설명 및 직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latians 갈라디아서 6장 (사장된 율법을 지키자는 신약신자는 도굴싹꾼 사기꾼이다) (2) | 2025.06.12 |
---|---|
Galatians 갈라디아서 5장 (진리도 아닌 자神타神 절대신뢰는 우상숭배다) (1) | 2025.06.02 |
Galatians 갈라디아서 3장 (예수님의 복음을 인간식으로 변질시키면 변태자다) (0) | 2025.04.16 |
Galatians 갈라디아서 2장 (노력으로 율법을 지켜서 의롭게 되려다 망하는 개꿈을 깨버리자) (0) | 2025.03.26 |
Galatians 갈라디아서 1장 (바울이 전한 복음에 가감하면 저주의 가짜 목사다) (1)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