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T 고후 문장분석 문법설명 및 직해

2 Corinthians 고린도후서 10장 (불편한 진실은 감정 상해도 직구로 던져야 위선이 깨진다)

truth 2025. 2. 6. 10:40

2 Corinthians 고린도후서 10장 (불편한 진실은 감정 상해도 직구로 던져야 위선이 깨진다)

NLT 읽기 https://www.bible.com/bible/116/2CO.10.NLT( YouVersion )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2%20Corinthians%2010&version=NLT;KLB

NLT 듣기 https://www.bible.com/bible/116/2CO.10.NLT ( YouVersion )

무료 성경 앱 https://www.youversion.com/the-bible-app/ (한글/영어/다른 외국어 읽기/듣기, 오프라인 읽기)

개역개정 https://bible.ctm.kr/ibible/

 

 

1 Now I, Paul, appeal /to you /with the gentleness and kindness of Christ

—though I realize () you think () I am timid /in person and bold /only when I write /from far away.

 

* In person : actually present, * 강조사로 쓰인 only, * and (I am) bold /only when I write from far away.

* I realize (that) you think (that) I am timid~ 동사가 3개 있으므로 접속사가 생략된 걸 알 수 있

* and bold에서 and는  but; on the contrary 의미임, * 부역전구  /in person, /from far away. * 형역전구 of Christ

 

1 Now 이제 I 나, Paul 바울은, appeal 청원한다 to you 너희에게 with the gentleness 온유함과

and kindness 친절함으로 of Christ 그리스도의

—though 비록 I 나는 realize 깨닫지만 (that) you 너희가 think 생각한다는 걸 (that) I 내가 am timid 나약하다고

in person 직 대면 시에는

and 그러나 bold 담대하다고 only 단지 when 그때 I 내가 write 편지 쓸 때 from far away 멀리서.

 

* 사실 직대면시에는 여러가지 이유로 할 말을 다 할 수 없고 하더라도 충분히 생각할 시간이 없기에 말 실수가 나오고

문득 떠오른 설익은 생각을 말하여 오해나 쌈질도 유발하고 원 의도대로 잘 못한 말 지울 수도 없으니 영원한 수치되나

글로 쓸 때는 잘 생각하고 맘에 안 들면 지우고 고쳐 일관된 논리로 쓸 수도 있기에 순간발상적 말 보다 글이 더 힘있다

 

2 Well, I am begging you /now

so that when I come won’t have to be bold with those //who think () we act /from human motives.

 

* 감탄사로 쓰인 well ; 1. Used to introduce a remark, resume a narrative, or fill a pause during conversation.
* 동사구 won’t have to be ; will not have to는 조동사  본동사는 be  (have to는 must보다 약함)                                          

* 전목인 명사구 those //who think (that) we act from human motives

 

2 Well 어찌 됐든, I 나는 am begging 애걸한다 you 너희에게 now 지금

so that 그래서 when 그때 I 내가 come 올 때 I 나는 won’t have to be bold 담대하지도 않아도 되도록

with those 그들에게 who think 생각하는 (that) we 우리가 act 행동한다고 from human motives 인간적인 동기로.

 

* 바울이 조심스럽게 말한 진실을 나약함으로 오해한 설익은 교인에게 애걸하는 건 대 놓고 하면 존심 상할 때문인데

직구로 하는 말은 감정을 상하여 반발이나 자기방어가 나오나 우회적인 표현은 감정을 덜 상하게 충고를 주니 좋지만

무지무식한 사람에게 변화구를 던져봐야 눈치를 못 채니 아프고 불편한 진실을 직구로 던져 깨던 깨지든 승산이 나니

예수님께서 위선적인 바리새인에게 마귀-독사 자식/개/회칠 무덤 등의 직구를 날리셔서 그들의 철갑을 깨려 하셨으며

베드로에게는 사탄으로 부르기도 하셨으나 구원시키시려는 사랑이신 예수님의 극단적인 표현으로 보면 틀림이 없다

 

3 We are human, but we don’t wage war /as humans do.

 

3 We 우린 are human 인간/사람이지만, but we 우린 don’t wage 수행하지 않는다 war 전쟁을

as humans 인간이 do 하는 것처럼.

 

* wage ; carry on (a war or campaign), * 대동사 do = wage

 

* 좋은 사람끼리 인간적인 방식으로 하면 인간적으로는 통하겠지만 악한 사람에게는 인간적인 방식이 통할리 없듯

악한 마귀를 지식논리상식적으로 상대해 봐야 스게와 아들처럼 얻어맞으니 오직 성령님의 능력으로 대적해야 하고

신자/불信자를 막론하고 신노름으로  자-神 선악 기준을 과神하여 우주神으로 神봉되는 가짜神들을 격파해야 한다

 

4 We use God’s mighty weapons, not worldly weapons, 

to knock down the strongholds of human reasoning and to destroy false arguments.

 

4 We 우린 use 사용한다 God’s mighty weapons 하나님의 강력한 무기를, not worldly weapons 세상적 무기가 아니고, 

to knock down 까부시고 the strongholds 철옹성을 of human reasoning 인간적 이성의

and to destroy 파괴하기 위해 false arguments 거짓 변론을.

 

* 부역 부정사구 to knock down the strongholds of human reasoning and to destroy false arguments.

* knock down : to strike to the ground with or as if with a sharp blow : fell 까부수다/쳐 넘기다

 

* 하나님의 강력한 무기인 진리의 말씀성령의 검 앞에 사칭죄가 안 드러날 가짜신-인간들은 세상에 없기 때문이나

죄 없는 자가 돌로 쳐라 하실 때 찔림을 받은 자들은 몰라도 양심에 화인 맞은 자들은 찔려도 피도 안나고 위선 떨다가

심는 데로 거둔다는 우주 진리에 따라 헛것을 심고 헛것을 거두어 처럼 먹어도 마셔도 허기지고 갈증나는 곳에 간다  

 

5 We destroy every proud obstacle //that keeps people /from knowing God. 

We capture their rebellious thoughts and teach them to obey Christ.

 

5 We 우린 destroy 파괴한다 every proud obstacle 모든 교만한 장애물을 //that 그건 keeps 막는 people 사람들을

from knowing God 하나님을 아는 걸로부터. 

We 우린 capture 사로잡고 their rebellious thoughts 그들의 반항적인 생각을

and teach 가르친다 them 그들에게 to obey Christ 그리스도께 순종하기를.

 

* 목적인 명사구 every proud obstacle //that keeps people from knowing God 한정사+형+명+형절

* KEEP FROM : prevent something, or prevent someone from doing something; not tell someone something

* 4 형식 teach [them] [to obey~] 의미상 그들에게 '순종하기'를 가르치다로 되기에 4 형식으로 함

 

* The Voice 번역

5 We 우리는 are demolishing 무너뜨린다 arguments 변론과 and ideas 사상들을,
every 모든 high-and-mighty 거만한 philosophy 철학을 //that 그건 pits 대항하는 itself 그 자체가

/against the knowledge of the one true God 진리이신 단 한 분 하나님을 거슬려서.
We 우린 are taking 사로잡아서 prisoners 포로를 of every thought 모든 생각의, every emotion 모든 감정의,

and subduing 장악한다 them 그것들을 into obedience 순종하게 to the Anointed One 그리스도께. 

 

* HIGH-AND-MIGHTY ; arrogant, imperious. 거만, * pit against  : to set into opposition or rivalry

* The Anointed or The Anointed One 기름 부음을 받으신 분: The Messiah, the savior and liberator 메시야, 구원주

 

* 세상이 가르치는 인간의 철학/사상/생각인 불신자들의 world-view 세계관은 하나님의 창조관에 반대하는 인생관이며

인간의 선악 기준으로 하나님의 기준을 대신한 신노름으로 타락한 인간의 죄인 특성이라 피할 수 없는 선천적 죄성인데

(인간 선의 기준은 하나님께서 선이라 한 걸 악이라 하고 하나님께서 악이라 하신 걸 선으로 믿는 자신을 섬기니 악하다)

기독인이 싸워야 할 대상은 외부적 세상 관점/사상도 있지만 내부의 본성인 죄인의 관점천국관점으로 깨부셔야 하나

믿는 게 자신뿐이면 자기 관점을 깨려고 싸울 사람은 없고 싸워도 이길 건 자기의 다른 관점이기에 자기 개선은 되지만

세계관과 반대인 천국관인생관으로 삼으려 함은 자신을 죽이는 거라 스스로 못하니 예수님께서 하셔야만 가능하다

 

6 And after you have become fully obedient, we will punish [everyone //who remains disobedient].

* 목적인 명사구 everyone who remains disobedien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6 And after 후에 you 너희가 have become 되어진 후 fully 완전히 obedient 순종하는 상태로,

we 우린 will punish 처벌할 것이다 everyone 모든 이를 //who remains 남아있는 disobedient 불순종 상태로.

 

* 바울이 조심스럽게 말한 불편한 진실은 죄를 지적한 것이었기에 순종하여 고치면 용서받되 안 하면 심판된다

 

Look at the obvious facts. 

[Those //who say () they belong to Christ] must recognize that we belong to Christ /as much as they do.

 

7 Look at 주목해 보라 the obvious facts 명백한 사실들을. 

[Those 그들은 who say 말하는 (that)절 내용을 즉 they 그들이 belong 속했다고 to Christ 그리스도께]

must recognize 인식해야 한다 that절 내용을 즉 we 우리도 belong 속했다고 to Christ 그리스도께

as much 그만큼 as they 그들이 do 속한 것처럼. 

* look을 자동사로 보면 at는 뒤에 온 명사와 결합하여 전치사구로 장소/방향 설명 부사 역할이 됨  

* 주어인 명사구 Those who say (that) they belong to Christ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do = belong

* 내 자신이 예수님을 구주로 모셨다면 예수님을 모신 다른 사람도 같은 신자임을 인식인정해야 같은 영의 소유자다

 

8 I may seem [to be boasting too much about the authority /given to us by the Lord]. 

But our authority builds you up; it doesn’t tear you down

So I will not be ashamed of using my authority.

 

8 I 나는 may seem 보일 수 있다 to be boasting 자랑하는 것처럼 too much 지나치게 about the authority 권한에 관하여

given 주어진 to us 우리에게 by the Lord 주님에 의하여. 

But 그러나 our authority 우리의 권한은 builds 굳게 세워 주는 것이다 you up 너희를;

it 그건 doesn’t tear 깨부수지 않는다 you down 너희를. 

So 그러므로 I 나는 will not be ashamed 부끄러운 상태로 되지 않을 것이다 of using 사용하는데서 my authority 내 권한을.

 

* 불자 보어인 부정사구  [to be boasting too much about the authority /given to us by the Lord]. 

* 전목인 명사구 the authority /given to us by the Lord. 명+형/과분사구
* 형역 과분사구 ; /given to us by the Lord 과분사의 수동 주체인 authority 수식 
* to build someone up ; to help them to feel stronger or more confident,

* 타동사구 tear down ; criticize or punish someone severely, demolish something, especially a building.

* 형역 과분사구 ashamed of using my authority 과분사의 수동 주체인 주어 수식

* 전목인 동명사구 using my authority

* 준동사인 부정사는 명/형/부 역할, 분사는 형용사 역할, 동명사는 명사 역할을 함

 

* 세상의 권한은 사람 위에 군림하여 섬김 받는데 쓰지만 천국 왕이신 예수님은 권한을 죄인 구원과 섬김에 쓰셨다

 

9 I’m not trying [to frighten you by my letters].

 

9 I’m 나는 not trying 시도하지 않는다 to frighten 무섭게 하기를 you 너희를 by my letters 내 편지로.

 

* 목적 역할인 명역 부정사구 [to frighten you by my letters]

 

* 죄를 지적당하면 정죄심판과 연계되어 두렵거나 감정이 상하기도 하지만 겸손히 회개하면 용서를 받는다

 

10 For some say, “Paul’s letters are demanding and forceful, 

but in person he is weak, and his speeches are worthless!”

 

10 For 왜냐면 some 어떤 이는 say 말하기에, “Paul’s letters 바울의 편지는 are demanding 요구적이고

and forceful 강압적이나, but in person 직대면해서는 he 그는 is weak 위약하고,

and his speeches 그의 말솜씨는 are worthless 형편없다고 하며!”

  

* In person : actually present 직대면으로, face to face 얼글과 얼굴을 대하여, 본인 직접 

* 보어/형용사로 쓰인 현분사 demanding - needing a lot of time, attention, or energy: 요구를 유발하는 능동상태 설명

- (of a person) making others work hard or meet high standards. 다른 이에게 많은 요구를 하는

* 현분사의 진행형과 보어 구별방법; 현분사를 정형 동사로 고쳐서 의미가 통하면 진행형, 아니면 형용사임

* 주의 Paul’s letters are demanding => Paul’s letters demand (X) 요구를 하는 진행동작이 아님

 진행 구별법 ; 정형동사로 바꾸어도 의미가 통함 I am trying to~ => I try to~

* 형용사구 demanding and forceful 형&형

 

* 한글은 형용사를 동사와 같이 용언에 포함하고 어미도 동사 같으나 영어는 동사와 형용사를 다른 품사로 분류하기에

  영어의 형용사를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한 원인이 되나 영어 형용사는 명사의 존재 상태를 설명하므로

  요구한다를 보어로 쓰면 It's demanding.  요구하는 상태다로 이해하고 demanding job은 요구많은 까다로운 일이된다

 

바울의 편지가 이것저것 많은 걸 까다롭게(?) 요구하는 이유는 신약성경이 없기에 구약성경을 읽고 적용하는 상황에서

모세의 율법을 폐기하고 예수님의 사랑법으로 대체되는 과도기/전환기에 있었기에 세상 죄에 찌들린 이방인 초신자

율법에 찌들린 유대인 신자는 사랑법이 어렵고 부담되기에 다양한 이유 설명과 새로운 행동지침을 적을 필요 때문인데

현대 이방인 신약신자들 역시도 구약과 신약성경을 동시에 읽으며 같지만 다르고 다르나 같은 점을 이해하기 쉽지 않다

 

구약과 신약 둘 다 같은 하나님 말씀이지만 옛날 언약새로운 언약이라는 현격한 의미차이가 있기에 분별이 요구되니

단숨에 읽고 끝낼 수 없어 읽기를 수도 없이 반복하고 묵상해야 할  진지하고 심각하고 뜻깊은 장문의 편지를 쓴 것이라

오늘날 우리도 한두 구절 읽고 쓴 여러 페이지의 논문이나 책을 읽고도 이해를 잘 못해 구약과 신약 차이를 잘 모르지만

간단히 말하면 그림자인 구약의 실체실상은 구약을 끝내시고 신약을 시작하신 예수님이시라 예수님이 신약의 핵심이다

 

11 Those people should realize that our actions when we arrive in person will be as forceful

 /as what we say in our letters from far away.

 

11 Those people 그런 사람들은 should realize 깨달아야 한다 that절 내용을 즉 our actions 우리의 행동들은

when 그때 we 우리가 arrive 도착했을 때 in person 직대면으로/본인 직접 will be as forceful 그처럼 강압적일 것이다

as what 그것처럼 we 우리가 say 말하는 in our letters 우리 편지에서 from far away 멀리에서 쓴.

 

* 보어로 쓰인 형용사구 as forceful as what we say in our letters /from far away 부+형+전구

   처음 as는 부사, 둘째  as는 전치사

* 전목으로 쓰인 의문사절 what we say in our letters from far away 멀리서 편지로 말한 그것

* 주어와 동사 사이에 끼인 부사절 /when we arrive in person

 

* 말과 글은 무시하면 그만일 수도 있지만 그 말과 글이 하나님의 말씀이면 무시하는 자는 파멸과 심판을 당하니 무섭다

 

12 Oh, don’t worry; 

we wouldn’t dare say that we are as wonderful as these other men //who tell you [how important they are]! 

But they are only comparing themselves /with each other, using themselves /as the standard of measurement. 

How ignorant!

 

12 Oh 아, don’t worry 걱정하지 마라; 

we 우린 wouldn’t dare say 감히 말하지 않을 것이다 that절 내용을 즉 we 우리가 are as wonderful 그렇게 경이롭다고

as these other men 그런 다른 이들처럼 //who tell 말하는 you 너희에게 how important 얼마나 중요한지 they 그들이 are! 

But 그러나 they 그들은 are only 단지 comparing 비교한다 themselves 그들 자신을 with each other 서로 간에,

using 사용하면서 themselves 그들 자신을 as the standard of measurement 표준 척도로써. 

How ignorant 얼마나 무지한가!


* 보어인 형용사구 as wonderful as these other men //who tell you [how important they are] 부+형+전구

* 전목인 명사구 these other men //who tell you [how important they are]

* 4 형식 구조인 형절  //who tell you [how important they are]

* 직목인 의문사절 [how important they are] 의문사는 접속사 및 부사역할

* we wouldn’t dare say that~ 그 내용을 감히 말하지 않을 것이다

* dare ; v.aux. 조동사면 원형 동사가 따름 To be courageous or bold enough to: I dare not say. How dare she go?

* 비교 ; 동사로 쓰이면 뒤에 목적으로 to 부정사구가 쓰임 we would never dare [to compare ourselves with people]
* 형역 분사구; 문법상은 분사의 주체인 주어 수식, 의미상은 동시 동작 설명
using themselves as the standard of measurement. 자기가 자기를 재는 표준/기준으로 사용하면서

 

* 자기 맘대로 설정한 자신의 저울/기준으로 자기를 잰 다는 것은 재나마나 자기 기준대로 나올 것이기에

  자신이 우월하다는 기준으로 재면 우월한 자신으로 나오고 열등하다 생각하면 열등한 자신으로 나오고

  나보다 못한 다른 이를 기준하면 나는 항상 잘났고 나보다 잘난 사람을 기준하면 난 항상 모자라게 되니

  자기가 설정한 상대적 기준은 절대적인 표준/상수가 아니고 상대적 변수이기에 기준변이는 돌연변이요

  자기 자신의 기준치/표준/척도를 절대표준/진리로 삼는다는 자체로 인간의 신노름이 확실하게 드러나나

  절대 가치이신 하나님의 잣대/진리의 말씀을 기준하면 항상 공정하고 불변하며 정확한 측정값이 나온다

 

13 We will not boast /about things /done outside our area of authority. 

We will boast only about what has happen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work () God has given us, 

which includes [our working with you].

 

13 We 우리는 will not boast 자랑하지 않을 것이다 about things 일들에 대해 done 행해진

outside our area 우리의 구역/범위 밖에서 of authority 권한의. 

We 우린 will boast 자랑할 것이다 only 단지 about what 그것에 대해서 has happened 일어났었던

within the boundaries 범위/경계 안에서 of the work 사역의 (that) 그건 God 하나님께서 has given 주신 us 우리에게, 

which 그건 includes 포함하는 our working 우리의 사역을 with you 너희와 함께 하는.

 

* 부역 전구 /about things /done outside our area of authority 전치사+명사구

* 전목인 의문사절 what has happen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work (that) God has given us, 의문사절+형절

* 4 형식 형절 //that God has given us (that=선행사 the work=직목)

* 앞 명사 수식인 형역 과분사구 /done outside our area of authority

* 비제한 형절/삽입절 (which=the work) includes our working with you. 설명 추가 역할

* 목적으로 쓰인 동명사구 our working with you (소유격 our는 동명사의 주체/동작자를 표시함)

 

* 자기자랑이면 자기 권한/역량 내의 일이라도 교만이 됨은 여건과 역량을 주신 하나님을 무시하고 자기만 높이는 것이라

패망의 선봉이 되나 하나님 안에서의 자랑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니 영광을 받으신 하나님께서 신자에게 영광을 주신다

 

14 We are not reaching /beyond these boundaries /when we claim authority over you, 

as if we had never visited you. 

For we were the first /to travel /all the way /to Corinth /with the Good News of Christ.

 

14 We 우린 are not reaching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beyond these boundaries 이런 경계 밖으로

when 그때 we 우리가 claim 주장할 때 authority 권한을 over you 너희들 위에, 

as if 마치 we 우리가 had never 결코 visited 방문 안 한 것처럼 you 너희를. 

For 왜냐면 we 우리는 were the first 최초의 사람들 to travel 선교 여행한 all the way 전부 to Corinth 고린도까지

with the Good News of Christ 그리스도의 복음을 가지고.

 

* 자동사로 쓰인 reach ; To have an influence or effect: 영향을 미치다

  We are not reaching /beyond these boundaries 그런 범위/경계를 지나치게 영향을 주는 건 아니다

* as if 가 의미상 가정문으로 쓰이면

  실제와는 반대의 가정에 쓰이므로 실제로는 방문을 했지만 안 한 것처럼 이라고 가정함
* 명사로 쓰인 first ; 최초의 사람들, * 부사적으로 쓰인 명사구 all the way

* 형역 부정사구 /to travel all the way /to Corinth /with the Good News of Christ.

 

* 꿈에서 마게도냐인이 불러서 유럽대륙으로 복음이 건너가 빌립보와 데살로니가와 고린도 교회가 개척되었었는데

우상과 행음행악에 취해 살던 고린도인이 복음을 받았지만 여전히 육의 일을 벗지 못해 거룩한 성신을 욕되게 하니

죄를 지적하는 바울조차 세상 토크쇼 말쟁이처럼 말도 잘 못하고 외모도 허접하니 무시하여 배척하고 말도 안 듣고

죄를 회개하긴커녕 자랑하므로 바울이 심각하게 책망하는 서신을 보냈더니 말엔 졸하나 글은 세다고 놀린 것이다

 

15 Nor do we boast and claim [credit /for the work () someone else has done].

Instead, we hope that your faith will grow

/so that [the boundaries /of our work /among you] will be extended.

 

15 Nor do we 우린 boast 자랑하거나 and claim 주장하는 것도 아니다 credit 공적을 for the work 사역에 대한

(that) 그건 someone else 다른 이가 has done 했던/이룩했던.

 Instead 대신에, we 우리는 hope 희망한다 that절 내용을 즉 your faith 너희의 믿음이 will grow 자라기를

so that 그래서 the boundaries 경계가 of our work 우리 사역의 among you 너희들 사이에서 will be extended 확장되도록.

 

* nor + 도치문; 강조상 조동사 do를 마치 의문문처럼 써서 도치문으로 강조함

* credit ; An acknowledgment of work done, 인정

         Recognition or approval for an act, ability, or quality: 내 공/내 능력으로 인식하는 것 

* claim credit/responsibility/success, etc. ; to say that you have done or achieved something: 내 공적이라 주장하다

* 의도 설명에 쓰이는 부사 접속사 /so that

* 주어인 명사구 the boundaries /of our work /among you 명+형/전구+형/전구

 

* 믿음이 자란다는 것은 믿음의 범위가 확장된다는 의미이기에 초급 수준에서 중급으로 또 고급으로 발전하고

초보에 머물면 유아처럼 자기 앞가림도 못하니 자라야만 성인처럼 걷고 뛰고 도약도 할 수 있는 것이 믿음인데

성경적 믿음은 믿음을 주시는 믿음직스러우신 빛의 아버지께서 주시는 선물이라 자기노력으로 생성할 수 없고

믿음을 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을 들어서 나오니 믿음이 없다 생각되면 말씀을 읽으면서 믿음을 구하면 주시기에

안 믿기면 믿사오니를 주문처럼 말할 게 아니라 믿기는 하나 허접하니 더 큰 믿음을 구하면 주실 게 분명하고

구원의인하나님의 자녀도 상급도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사역의 일부도 거둘 수 있는 영광에 참여한다

 

16 Then we will be able to go and preach the Good News /in other places /far beyond you, 

where no one else is working

Then there will be no question of our boasting about work /done in someone else’s territory.

 

16 Then 그러면 we 우린 will be able to go 가서 and preach 전파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od News 복음을

in other places 다른 장소에서 far beyond you 너희를 한참 더 지나서, 

where 거긴 no one else 아무도 is working 사역하지 않는. 

Then 그러면 there will be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no question 아무런 의문도 of our boasting 우리의 자랑에 관련한

about work 사역에 대한 /done 행해진 in someone else’s territory 다른 이의 구역에서.

 

* 존재 설명에 쓰인 관용 어구 there is/are~ 이 존재하다 (우리말 '있다'와 유사하나 '위치하다'는 말과는 다름)

* There is a car. 한 자동차가 있다/존재한다, A car is at the house. 한 자동차가 그 집에 위치해 있다

* 형역 분사구 /done in someone else’s territory 과분사의 수동 주체인 앞 명사 수식

 

* 바울 당시에는 예수님의 많은 제자들이 복음을 전파했기에 바울은 다른 제자가 일하지 않는 곳에 복음 전파를 원했는데

오늘날에는 다른 교회 신자를 뺏는 것이 아니라 복음을 듣지 못한 불신자들에게 복음 전도를 해야함을 암시한다고 보인다

 

17 As the Scriptures say, “If you want to boast, boast only about the LORD.”

 

17 As the Scriptures 성경이 say 말하듯, “If 만약 you 너희가 want 원하면 to boast 자랑하기를,

boast 자랑하라 only 단지 about the LORD 주님께 대하여만.”


* Scriptures 복수로 쓴 건 66권의 기록서/소책자들로 구성된 때문이나 전체를 한 권으로 보아  the Scripture로 쓰기도 함

 

* 지교회나 신자를 얼마나 많이 만들었는지 자랑하면 모든 걸 가능하게 하신 예수님을 쏙 빼고 자기영광을 드높이므로

하나님의 영광을 탈취하는 교만 중죄가 되니 필사적으로 거부하고 무익한 종이 주님의 은혜를 자랑해야 진짜 종님이나

왕된 종처럼 스스로 잘난 체하고 거들먹거리면 불경하게도 종님 아닌 '놈종'으로 불러도 시원찮은 영광 찬탈자가 된다

 

18 When people commend themselves, it doesn’t count for /much. 

The important thing is for the Lord to commend them.

 

18 When 그때 people 사람들이 commend 자천할 때 themselves 그들 자신들을,

it 그건 doesn’t count  for 수에 칠 수 없다/가치가 없다 much 별로. 

The important thing 중요한 일은 is이다 for the Lord 주님께서 to commend 천거하시는 것 them 그들을.

 

* count for ; 중요성/가치를 가지다 1. Have importance or worth,  2. count for nothing. Have no influence or effect,

* for the Lord는 부정사 commend의 주체/동작자 표시임

* to commend ; to present as suitable for approval or acceptance; recommend. 천거하다

* 비교 command : to give (sb) an order to tell (sb) to do something in a forceful and often official way; 명령하다

 

* 일반적으로 자소서는 자기가 자기를 추천하는 것이기에 액면 그대로 안 믿지만 자격증이나 타인의 추천서는 다른 게

자신이 아닌 남이 본 나에 대한 편견 없는 견해는 객관성이 있기 때문인 것처럼 내가 아닌 예수님께서 인정하셔야 하나

자칭 믿음으로 자칭의인시하고 자랑하다 죽어 천국 문을 두드리면 열리긴커녕 나는 너를 모른다는 날벼락이 떨어지면

돌이킬 수 없는 불벼락이 되기에 날벼락을 맞아도 바울처럼 살아서 맞아야 회개할 기회가 있으니 날벼락은 살아서 맞자